Google Analytics 입문 (1)
참고 교재 - Do it! 구글 애널리틱스 입문
1. GA계정 만들기 및 추적 코드 삽입
- 추적 코드 삽입 : 소스코드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선택할 것(티스토리)
- 방법 : ga 추적코드 복사 ->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-> 스킨 편집 -> html 편집 -> </head> 윗줄에 추적코드 붙여넣기
2. 알아두면 좋은 설정들
1) 교차 방문 분석을 위해 유관 웹사이트에 같은 추적코드 넣어서 관리하기
속성 A --- 추적 코드 A ---- 웹사이트 A , 웹사이트 B
2) 보기 설정하기
<웹사이트/모바일앱, 보고 시간대 설정>
- 실제 분석을 위한 보기 : Master View
- 테스트를 위한 보기 : Test View
- 원본 데이터 확인 : Raw Data View
3) 데이터 수집을 위한 기본 설정 바꾸기
- 인구 통계 및 관심 분야 : 나이대, 성별 등 세그먼트 단위로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보고서를 볼 수 있도록 함
-- 설정 : 속성 설정 - 인구통계 및 관심분야 보고서 사용 활성화
4) 서치 콘솔 활성화
- 자연 키워드 보고서를 보기 위함 [ 획득 -> search console -> 보고서]
-- 설정 : 속성 설정 -> Search Console 조정 - 추가 - 웹사이트 추가 - url 접두어 사이트 선택 - 소유권 확인
5) 사내 트래픽 차단
- 웹 사이트 관리자가 방문하는 데이터를 차단하기 위함 ( 데이터 허수 제거)
- Test view - 필터 추가 ( 이름 : 사내_트래픽_차단, 필터 유형 : 맞춤, 제외 : IP 주소)
- IP 정규식 : ^(맨 앞), $(맨 뒤), \(또는 백 슬래시, 구분자 뒤)
-- IP 정규식 예 : ^123\.456\.789\.12$
--- 사내 모든 아이피 차단시 : ^123\.456\.789\.[1-100]$ # 범위 확인 후 대괄호와 -부호 이용하기
6) 필터 활용하기
- 데스크탑, 모바일을 별개로 구분해서 보는 경우, 통합해서 보는 경우 등 상황에 맞춰 활용하기
데스크톱에서 발생하는 트래픽만 포함하는 경우
-- 필터 ( 포함 : 기기 카테고리 , 데스크톱)
-- 필터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적용된다. EX) 사내 트래픽 차단 -> 데스크탑 정보
7) 전체 URL 표시하고 싶다면 , FullUrl
- [실시간 - 콘텐츠]에서 사용 중인 페이지 주소확인 할 수 있음, 여기서 Full url이 설정되도록 함
- 티스토리 방명록 페이지를 조회하고 있다는 가정
- 보기 -> 필터 -> 고급
* 필드 A -> 추출A : 호스트 이름 , (.*) / 모든 데이터 추출 ex) ~~.tistory.com
* 필드 B -> 추출B : 요청 url , (.*) / guestbook
* 출력 대상 -> 생성자 : 요청 url, $A1$B1 / 호스트 이름과 URL 데이터를 합쳐 다시 요청하여 집어넣음.
설정하면, 원래 실시간 - 콘텐츠에서 /guest로 뜨던 페이지가 전체 페이지인 ~~.tistory.com/guestbook으로 바뀜
8) 봇 필터링
- 봇,스파이더,크롤링가 남기는 데이터 흔적 방지
- 보기 -> 봇 필터링(알려진 봇 및 스파이더에서 발생한 모든 조회수 제외) 체크 / default로 되어있더라.
9) 사이트 검색
- 운영중인 쇼핑몰이 있다면 한 카테고리에서 조회된 상품에 대한 보고서 등을 간편하게 볼 수 있도록 설정하는 기능
- 사이트 별로 상이하므로, 검색 결과가 포함된 url을 확인하면서 유동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.
- ~~~?keyword=notebook&category=laptop와 설정된 url이 있다고 가정하자.
-- 보기 설정 -> 사이트 검색 추적 활성화 -> 검색어 매개변수 : keyword -> URL에서 검색어 매개변수를 제거합니다 활성화
** category가 latop인 다른 상품들을 조회했을 떄,
- ~~~?keyword=samsung&category=laptop
- ~~~?keyword=apple&category=laptop
다른 부분은 모두 동일하지만, 검색 키워드가 달라서 url 주소가 다름 -> ga도 다른 페이지로 인식
검색 결과 페이지는 똑같음 -> /~~~~searchresult.html?category=laptop ( 랩탑 카테고리 내에서 검색 결과 페이지)
따라서 사이트 검색 카테고리 -> 카테고리 매개변수 : category 추가 설정
10) GA 목표 설정
- 목적, 지표, 목표 구분하기
목적 : 페이지 이탈률을 줄이겠다.
지표 : 이탈률 20%
목표 : 사용자의 구체적인 행동 , ex) 콘텐츠 조회
-- 유입 경로 설계, 이벤트 태깅(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상호작용하는 행위)
-- 목표 설정 : 구매 완료 페이지 도착을 목표로 설정하기
설정 방법 : 보기 -> 목표 -> 맞춤 설정 -> 이름, 유형 : 도착, 구매 완료 페이지 url(~~.ordered.html)
목표 세부 정보 : 시작값 : ordered.html
목표 정상 작동 : 실시간 - 전환 수 ( 구매 완료는 goal 달성이기 때문에)
11) 전자 상거래 기능 활성화 및 추적코드 삽입
- 개발자와 협의 후 코드 삽입하는 의사소통 기능 필수
- 어떤 흐름인지만 알고있고 어떻게 조회하는지만 알면 될듯
- 모든 프로세스 흐름에 대한 추적이 아닌 주요 페이지 추적을 선택하여 볼 것
* 결제 완료, 상품 상세 페이지 조회(이탈률 파악,why) , 결제 정보 입력, 장바구니 추가
1) 전자상거래 보고서 확인 -> Master view -> 전환 -> 전자상거래 -> 쇼핑 행동
- 쇼핑 행동 : 어느 단계에서 가장 많이 빠져나갔는지, 최종 결제 수 등 / 가장 많이 이탈한 단계를 찾아 개선할 수 있음
2) 결제 행동
- 배송 정보 입력, 결제 정보 입력, 정보 입력 확인 등 3단계로 구성
3) 제품 실적 보고서
- GA에서 가장 많이 보는 보고서 중 하나로 각 상품의 매출 실적을 확인할 수 있음
+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네이버 등 유입 경로별로 활인할 수 있다.
도서 구매 첫 날 130p 가량 공부했는데, 술술 넘어갈 수 있는걸 보면 ga입문도서로 적합한 것 같다. ga는 직접 운영하는 웹사이트가 있어야 확실히 실습하기 편할 것 같다.
실제 기업에서 운영하는 ga보면 정신사나울 것 같다.. 내 보고서는 애기수준